해당 내용을 기준으로 리눅스에서 설정한다.
Subnet IP: 192.168.164.0
Subnet Mask: 255.255.255.0
Gateway IP: 192.168.164.2
1. vi /etc/sysconfig/network-scripts/ifcfg-eth0
DEVICE=eth0
HWADDR=XX:XX:XX:XX:XX:XX
TYPE=Ethernet
UUID=XXXXXXXX-XXXX-XXXX-XXXX-XXXXXXXXXXXX
ONBOOT=no
NM_CONTROLLED=yes
BOOTPROTO=dhcp
수정된 값
DEVICE=eth0
HWADDR=XX:XX:XX:XX:XX:XX
TYPE=Ethernet
UUID=XXXXXXXX-XXXX-XXXX-XXXX-XXXXXXXXXXXX
ONBOOT=yes
NM_CONTROLLED=yes
BOOTPROTO=dhcp
BROADCAST=192.168.164.255
IPADDR=192.168.164.100
NETMASK=255.255.255.0
NETWORK=192.168.164.0
GATEWAY=192.168.164.2
BROADCAST는 마지막에 255를 넣어주면 되고 IPADDR은 3~255까지 원하는 숫자를 적어준다.
GATEWAY, NETMASK,, NETWORK는 위에서 구한 값을 적어주면 된다.
2. vi /etc/resolv.conf
게이트웨이 아이피를 써주도록한다.
모든 설정이 끝났으니 네트워크 재시작
/etc/init.d/network restart
혹은
service network restart
해당 내용은 http://dgoh.tistory.com/78 포스트를 참고 하였습니다.
출처: http://chule.tistory.com/77 [ChulE]
'프로그래밍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스태틱 라우팅 설정 (0) | 2018.03.13 |
---|---|
CentOS 7 - 리눅스 방화벽 firewalld (0) | 2018.03.13 |
RHEL/CentOS 7 에서 방화벽(firewalld) 설정하기 (0) | 2018.03.08 |
CentOS SELinux 설정 및 해제하기 (0) | 2018.03.08 |
Linux Apache - 가상호스트설정(Apache virtual host) (1) | 2018.03.0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