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HP 에 오토로딩 기능이 포함되었지만 app 개발자는 오토로딩할 클래스를 직접 spl_autoload_register 를 사용하여 일일이 등록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.
컴포저는 사용할 패키지나 클래스가 있을 경우 간단하게 패키지명만 기술하면 자동으로 로딩해 주는 아주 편리하고 훌륭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
이 책에서는 자동으로 클래스나 인터페이스를 로딩해 주는 것을 오토로딩으로 부르며 오토로딩을 수행하는 로더(Loader)를 오토로더(Auto Loader) 라고 호칭합니다.
만약 컴포저를 사용할 수 없는 오래된 프레임워크에서 외부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고 할 경우 매우 불편하고 귀찮은 작업을 수행해야 합니다.
파일 시스템을 추상화하여 로컬 파일이든 드랍박스에 저장된 파일이든 혹은 아마존 클라우드에 저장된 파일이든 단일한 인터페이스로 손쉽게 다룰 수 있는 유명한 라이브러리인league/flysystem패키지(라라벨 5에는 기본 탑재되어 있습니다.)를 프로젝트에서 사용한다고 가정해 봅시다.
만약 컴포저를 사용할수 없는 환경이라면 이 패키지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spl_autoload_register함수에 패키지를 등록해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 컴포저를 사용한다면 composer require league/flysystem명령을 콘솔에서 실행하거나 다음과 같이composer.json의require 항목에 의존성을 기술하고composer update를 실행하면 오토로더가 생성됩니다.
"require": {
"monolog/monolog":"^1.13",
"nesbot/carbon":"^1.19",
"league/flysystem":"^1.0"
},
오토로더는 classmap 과 psr-4 두 가지 방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 다음은 composer.json 에 현재 프로젝트내 database 폴더는 classmap 방식의 오토로더를 사용하고 app 폴더는 App 라는 네임스페이스를 쓰는 psr-4 방식의 오토로더를 사용하겠다는 의미로 라라벨 5의 기본 설정입니다.
이제 클래스맵과 psr-4 방식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"autoload": {
"classmap": [
"database"
],
"psr-4": {
"App\\":"app/"
}
},
클래스맵 방식의 오토로더로 설정할 경우 클래스맵에 지정된 폴더내에 모든 php 를 읽어서 다음과 같은 정적 배열을 생성하고 이 파일들을 오토 로딩합니다.
정보를 정적으로 생성후 로딩하므로 클래스맵은 런타임에 처리 속도가 psr-4 보다 빠르지만 새로운 파일이나 폴더가 추가되면 컴포저에게 오토로딩 정보를 갱신해야 한다고 알려줘야 합니다. 이 명령어는 dump-autoload 또는 dumpautoload 명령어이며 vendor/autoload.php 에 새로운 클래스맵 오토로더를 생성합니다.
$ composer dump-autoload
psr-4 방식의 오토로더는 다음과 같이 네임스페이스와 이를 매칭시킬 디렉토리만 지정하게 되며 동적으로 런타임에 요청한 클래스나 인터페이스, 트레이트를 찾게 됩니다.
<description>For use in public areas. You do not trust the other computers on networks to not harm your computer. Only selected incoming connections are accepted.</description>
php.ini 파일을 수정해 주어야 합니다. php.ini 파일 위치는 아까 phpinfo()에서 확인하였습니다. php.ini 파일을 열어서 마지막에 아래 라인을 추가해줍니다. 저장후 php-fpm 을 재시작하고 다시 phpinfo()를 보시면 php에 redis 모듈이 표시되는걸 확인할수 있습니다. 세션 정보도 redis 로 변경합니다.
그누보드5의 common.php 에는 session 설정과 관련된 코드가 들어 있습니다. redis 를 session 저장소로 사용하는 경우 session.save_path 를 수정하면 안됩니다. /common.php 파일 190번 라인에 있는 아래 코드를 주석 처리 합니다.